지상강좌 분류
외계의 방문자들 : 성경에 나오는 UFO
컨텐츠 정보
- 2,019 조회
-
목록
본문
성경대로믿는사람들 <2020년 04월호>
불과 117년 전인 1903년 12월 17일, 평범한 자전거 상점 주인이었던 "라이트 형제"가 비행기를 처음 발명하면서부터 인간은 하늘을 날 수 있게 되었다. 1,000번에 가까운 시험 비행 끝에 성공한 것이었는데, 동생 "오빌"은 그들이 만든 비행기 "플라이어 호"를 타고 12초 동안 36미터를 날았고, 형 "윌버"는 59초 동안 244미터를 날았다. 이로써 "항공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이다. 이후 인간은 "첫째 하늘"을 나는 것에만 만족하지 않았고, "둘째 하늘"인 우주로 눈을 돌리기 시작하더니 인공위성, 우주 탐사선, 우주 정거장 등을 쏘아 올리면서 본격적으로 우주 개발 경쟁에 불을 붙이기 시작했다. 올해는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지 51주년이 되는 해인데,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 표면에 첫발을 내디딘 것은 1969년 7월 20일이었다. 당시 그는 "이것은 한 사람에게는 작은 한 걸음에 지나지 않지만, 인류에게 있어서는 위대한 도약이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그로부터 51년의 세월이 흘러오는 동안 세계 선진국들은 우주에 인류의 희망을 걸고 천문학적인 액수의 돈을 투자해 왔다.인류가 우주를 탐사해 온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1994년에 "태양풍 탐사"를 위한 인공위성 "윈드"가 발사되면서 "태양 탐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는데, 최근에는 미국 NASA에서 인류 최초의 태양 탐사 우주선인 "파커"를 쏘아 올리기도 했다. "달 탐사"는 구소련의 "루나 1호"를 시작으로 1959년부터 이루어졌는데, 미국은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이후로 12명의 우주인이 달에 갔다 왔다. 2018년 중국은 인류 최초로 지구에서는 보이지 않는 "달 반대편"으로 탐사선 "창어 4호"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1962년부터 시작된 "금성 탐사"의 경우 러시아가 18회, 미국이 6회로 횟수는 러시아가 더 많지만, 미국은 1989년에 "마젤란" 탐사선이 대성공을 거둠으로써 이전에 금성 탐사에서 얻은 정보들보다 훨씬 더 많은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NASA는 새로운 금성 탐사 미션을 2023년부터 수행할 계획을 갖고 있다. "화성 탐사"는 196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2003년에 발사된 탐사로봇 "스피릿"은 90일 동안 생존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무려 2,210일간 생존했고, 같은 해에 발사된 탐사선 "오퍼튜니티"는 지금도 활동 중이다. 그리고 2022년에는 민간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에서, 2033년에는 NASA에서 "유인우주선"을 화성으로 보낼 예정이다. "목성 탐사"는 1973년부터 이루어졌고, 1989년에 발사된 "갈릴레오"가 1995년에 목성 궤도에 진입한 이래로 8년 이상 공전하면서 대기의 주요 성분이 수소라는 사실과, 위성인 "유로파"에 소금을 함유한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997년에는 "토성 탐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는데, 당시에 발사된 다국적 프로젝트 탐사선 "카시니 - 하위헌스"는 지금까지 발사된 유일한 토성 탐사선이었다. 이 탐사선은 2004년에 토성 궤도에 진입한 이후로 토성의 고리에 틈이 있다는 사실과, 위성인 "타이탄"에 액화 메탄 바다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러다가 2017년에는 토성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전소되고 말았다.
뿐만 아니라 1958년부터는 "파이어니어 계획"이라고 해서 소위 UFO를 타고 다니는 외계의 생명체에게 지구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계획이 시행되었는데, 탐사선 "파이어니어 호"에 인간의 모습과 태양계의 구조를 그린 금속판을 부착하여 외계의 생명체에게 인간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1977년에 발사된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는 지구에서 가장 멀리 여행한 탐사선으로서 지금까지 가장 많은 행성들을 탐사했다. 특히 여기에는 혹시 모를 UFO나 외계의 생명체와의 만남을 기대하면서 각국의 언어로 된 인사말과 자연의 소리, 과학 이론, 클래식 음악 등 지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일들에 대한 기록을 담은 "골든 레코드판"이 장착되어 있었다.
더 보기 원하시면 해당 호의 학회지를 구입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