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목회자 칼럼 분류
“본문 비평장치”라는 거짓된 과학
컨텐츠 정보
- 62 조회
- 목록
본문
성경대로믿는사람들 <2025년 04월호>
어떤 성경의 변개 여부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는 마가복음 16:9-20(부활하신 예수님에 관한 기록)과 요한복음 7:53-8:11(간음한 여인에 관한 기록)을 어떻게 다루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킹제임스성경>을 제외한 모든 성서들은 마가복음 16장 9절부터 마지막 20절까지 열두 구절을 대괄호([ ])로 묶었다. 거기에 NASV는 “후대 사본들이 9-20절을 추가했다.”라고, NIV는 8절 다음에 길게 선을 그어 8절에서 본문이 끝났음을 가시적으로 알리고, 난외주에 “[가장 오래된 신뢰할 만한 두 개의 초기 사본들에는 막 16:9-20이 없다.]”라고 각주를 추가한다. 개역성경 및 개역개정판에도 9-20절을 “[ ]”로 묶고 “어떤 사본에는, 9-20절까지 없음”이라고 기록한다. 요한복음 7장 53절부터 8장 11절까지의 12구절 역시 “[ ]”로 묶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초기 사본들에는 요 7:53-8:11이 없음”(NIV), “어떤 사본에, 7:53부터 8:11까지 없음”(개역개정)이라고 각주를 추가한다. 그러나 그들이 주장하는 고대 사본인 시내 사본에는 마가복음의 마지막 열두 구절을 포함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빈 공간이 있다. 즉 그것을 필사한 필사자는 그 구절들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아마도 그것을 삭제하라는 지시를 받아 삭제했겠지만, 혹시라도 그 내용을 다시 채워야 할 경우를 대비해 공간을 남겨 두었던 것이다.올바른 본문을 의심하여 성경을 변개시키는 과정에서 성경 변개자들이 사용하는 도구들 가운데 소위 “과학적 기법”을 동원한다는 네슬(Nestle)의 헬라어 “본문 비평장치”(critical apparatus)라는 것이 있다. 이는 성경의 원문을 정리하고 편집하는 과정에서 그 본문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을 기록한 도구이다. 바른 성경 본문인 <표준원문>(Textus Receptus)을 공격하는 알렉산드리아 본문(Alexandrian Text)을 “비평본문”(Critical Text, CT)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이들이 말하는 “비평”은 성경을 비판(criticism)하는 것이 아니라, 신중하게 학문적으로 검토한다(critical analysis)는 뜻이라고 주장한다. 즉 “신중한 분석과 평가를 거쳐” “원본에 가장 가까운” 성경 본문을 찾기 위해 다양한 사본을 비교하고 연구한 결과로 만들어진 본문이라고 말이다. 이 장치는 다양한 사본들에 나타나는 단어, 구절, 혹은 문장의 차이점을 보여 주고, 이러한 차이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설명한다. 그 정보 안에는 1 실제로 사용된 헬라어 구절인 “본문”(text), 2 다른 사본에서 발견된 대체 구절이나 단어들을 보여 주는 “변형”(variants), 3 그 변형이 포함된 사본의 목록인 “필사본 정보(증거)”(ma- nuscript evidence), 4 본문에 포함된 차이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왜 특정 사본을 더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종 설명인 “판단”(critical decision)이 들어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1881년 이후로 웨스트코트와 홀트가 바티칸 사본과 시내 사본을 믿게 하려고 세운 그러한 견해에 동의하여, “본문 비평”(textual cri- ticism)은 성경을 포함한 모든 문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엄격히 “중립적인 학문”(neutral science)이라고 주장해 왔다. 이는 신약성경의 본문을 결정할 때 바티칸 사본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와 같은 원칙은 단순히 그 사본의 연대에 근거한 것이며, 해당 문서의 특징은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프란시스 피이퍼(Francis Pieper), 스크리브너(Prebendary Scrivener), 호스키어(Herman C. Hoskier), 밀러(Miller), 그리고 피커링(Pickering) 등은 중립적인 관점에 동의하지 않고 반박하였는데, 특히 가장 효과적으로 맞서 싸운 사람이 바로 존 윌리엄 버간(John W. Burgon, 1813-1888)이었다. 이 저명한 학자는 대부분의 삶을 옥스퍼드에서 보냈으며, 오리엘 칼리지(Oriel College)의 특별 연구원으로 활동한 후 세인트 메리 교회(옥스퍼드대학 교회)의 목사이자 그레셤 신학 교수(Gresham Professor of Divi- nity)로 봉직했다. 그의 생애 마지막 12년 동안에는 치체스터(Chichester)의 교무원장으로 섬겼다. 다음은 <킹제임스성경>의 수호자인 게일 립링거(Gail A. Riplinger)가 버간에 대해 내린 평가이다. “필사본 증거를 논할 때 실제 필사본들을 수집해서 학술적으로 대조하여 연구한 점에서 딘 존 버간(Dean John Burgon)을 따라갈 사람은 없다. 그는 <전통원문 변개의 원인>, <전통 원문>, <개정판을 개정하다> 등을 저술했고, 시내 사본과 바티칸 사본을 포함한 고대의 주요 대문자 필사본들을 직접 수집했을 뿐만 아니라, 신약 본문을 인용한 엄청난 양(그가 수집한 인용구는 86,489개에 달한다)의 증거들을 일일이 대조했다”(<뉴에이지 성경 역본들>, p.505-508, 말씀보존학회).
본문(대조) 비평 분야에서 가장 잘 알려진 버간의 저작은 “마가복음의 마지막 열두 구절”(The Last Twelve Verses of Mark)에 대한 논문으로, 그는 오랫동안 진행한 사전 연구 끝에 1871년에 이를 출판했다. 논문의 핵심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프린스턴대학의 학자인 데이비드 풀러(David Otis Fuller, Coun- terfeit or Genuine)와 하버드, 프린스턴대학의 원문비평학자인 에드워드 힐즈(Edward F. Hills, Believing Bible Study, p.131-142, The King James Version Defended, p.159-168)가 발췌하여 잘 편집했다. 버간은 자신의 책에서, 만족스러운 이론을 세우지 못하는 비평가들, 마가복음 16:9-20을 지지하는 고대의 증거들, 동일 본문을 생략한 문서들, 주장된 문체상의 차이점, 마가복음 16:9-20과 마가복음 16:1-8 사이의 주장된 불일치 등 열한 개의 세부 항목을 통하여 마가복음 16:9-20이 후대에 추가된 구절이라는 이론을 철저하게 무너뜨렸다. 너무도 명확하게 반박한 버간의 논증 때문에, 비논리적인 이유로 그 구절이 위조된 것이라고 믿고 싶어 했던 사람들은 손을 들 수밖에 없었다.
성경 변개자들의 주장과 달리 마가복음 16:9-20을 지지하는 방대한 고대 증거가 있으며, 럭크만 박사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마가복음을 포함하고 있는 열두 개의 구라틴 필사본들 가운데 단 하나만이 시내 사본과 바티칸 사본을 지지한다. 심지어 벌게이트 본문조차도 마가복음의 긴 결말 부분(막 16:9-20)을 가지고 있다. 시리아어 사본 증거를 보더라도, 짧은 결말을 가진 것은 시내 시리아어 사본(Sinaitic Syriac)뿐이며, 큐레토니안 시리아어 사본(Curetonian Syriac), 하클레안 시리아어 사본(Harclean Syriac), 팔레스타인 시리아어 사본(Palestinian Sy- riac), 그리고 다수의 구시리아어 사본(페시타, Peshitta)은 긴 결말을 포함하고 있다. 보통 알렉산드리아 사본과 바티칸 사본과 일치하는 사히딕어(Sahidic)와 보하이릭어(Bohairic) 사본들도 이번에는 마가복음의 결론 부분에 <킹제임스성경> 본문을 포함하고 있다. 몇몇 아르메니아어(Armenian) 사본을 제외하면, 나머지 모든 아르메니아어 사본들도 <킹제임스성경> 본문을 지지하며, 고딕어(Gothic)와 에티오피아어(Ethiopic) 번역본도 이를 따른다. 또한 마가복음의 긴 결말은 다섯 개의 다른 사본들(047, 055, 0211, 0233, 0257)에서도 발견된다. 이레내우스(Ire- naeus)는 A.D. 202년에 이 구절을 인용했는데, 이는 시내 사본보다 거의 150년 앞서고 바티칸 사본보다 100년 이상 앞선다. 암브로스(Ambrose)는 A.D. 397년에, 그리고 어거스틴(Augustine)은 A.D. 430년에 이 구절을 인용했다. 마가복음의 마지막 열두 구절이 삭제된 것은 두 개의 헬라어 대문자 필사본인 바티칸 사본과 시내 사본의 권위에 근거한 것이며, 이 구절을 포함하는 대다수의 헬라어 사본 증거와는 반대되는 결정이었다”(
육신으로 나타나신 『말씀』(요 1:14)을 공격한 사탄은 주님께서 승천하신 후, 동일하게 살아 있는 권위를 가진 기록된 “말씀”(마 4:4)을 공격해 왔는데, 이는 현재는 물론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계 22:18,19). 하나님의 말씀을 온전히 신뢰하여 그 공격을 이긴 보존된 말씀이 있고(마 24:35), 네슬의 헬라어 본문 비평장치라는 거짓되이 일컬어지는 과학의 반론(딤전 6:20)으로 변개시킨 성경이 있다(고후 2:17). 그리스도인이 자신의 손에 어떤 성경을 들고 있을 때, 그는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실제로 손에 들고 있다고 믿는 것인데, 당신의 그 성경은 어떤 성경인가? BB